티스토리 뷰
ICO(Initial Coin Offering)란?
최근 암호화 화폐시장에서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는 가장 큰 이슈는 ICO를 꼽을 수 있습니다. ICO는 암호화 화폐와 블록체인 산업에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의 최근 등장한 개념으로 Initial Coin Offering의 약자입니다.
이것은 관련 회사에서 자신의 암호화 화폐를 펀딩의 목적으로 공개할 때 가끔식 'crowdsale'로 불리는 이벤트입니다. 보통 암호화 토큰의 일정 수를 공개하고 그 토큰에 관심 갖는 사람들에게 비트코인으로 교환해주기도 하고 명목상 화폐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로인해, 회사는 제품 개발을 위한 자금을 충당하고 사람들은 암호화 토큰을 얻게되며, 토큰 지분에 대한 소유권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IPO와 ICO는 어떻게 다른가?
IPO는 금융기관 또는 증권사를 통해 기업의 자금과 전문투자자의 투자를 받으며 정해진 규제와 절차대로 모금일 진행되는 반면 ICO는 명확한 규제가 없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어느 국가에 상관없이 누구든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회사 측에서 직접 모금하며 많은 개인 투자자자의 자금을 받기도 합니다.
ICO는 하루가 멀다하고 새로운 토큰들이 생겨나고 실체가 없는 새로운 기술과 코인은 지속적으로 발행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회사의 성공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과 때로는 투자자들을 속이는 스캠(Scam)의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으므로 투자에 앞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ICO 투자를 위해서는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한 ICO의 기본개념과 용어들에 대해서 숙지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ICO의 종류
Private-Sale(프라이빗 세일)
일반인은 참여할 수 없고 비공개로 진행됩니다. 프라이빗 세일에 도움이 되는 기관 및 파트너를 대상으로 진행을 하며 최소 투자금액이 높습니다. 모금하는 기간 동안에 Lock-up이 되어있어 정해진 기간 동안 매도를 할 수 없는 조건이 있습니다.
Pre-Sale(프리세일)
Pre-ICO라고도 하며 일반 ICO를 진행하기 전 일부 비공개로 진행되는 방식입니다. 최소 투자 모금액이 일반 공개 투자 금액 보다 높습니다. 높은 투자금을 요구하는 대신 좀 더 많은 보너스 혜택이 있습니다.
Public Sale(퍼블릭 세일)
일반인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개발자가 지정한 이름에 따라 메인 세일, 크라우드 세일, 퍼블릭 세일이라고 부릅니다.
어떤 ICO가 안전하고 투자할 가치가 있는지는 많은 분석과 연구가 필요합니다.
Crowd-sale(크라우드 세일)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기획 단계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프로젝트 창출하는데 쓰이는 마케팅 예산 및 기타 모든 일들에 필요한 자금을 모금하는 것입니다. 해당 프로젝트의 기술을 믿으며 지지하는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암호화 화폐로 모금을 받은 뒤 새로운 cryptocurrency 또는 crypto-token을 제공 받게 됩니다. 프로젝트가 예상대로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기술과 토큰의 가치가 올라간다면 되팔아 수익화 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용어정리
KYC(Know You Customer)
투자자에 대한 본인 인증 절차 혹은 정보를 모으는 작업으로 ICO마다 신분, 거주지 증명 등 다양한 요구사항들이 있습니다. 국적, 고객의 자산 규모나 과거 투자 형태 등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투자자의 성향을 파악하고 불법행위에 악용되지 않도록 거래의 목적 등을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글로벌적으로 진행하는 ICO이기 때문에 여권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WhiteList(화이트리스트)
ICO 참여자 명단 또는 그에 상응하는 자격을 가진 사람들의 리스트입니다. 인기있는 ICO의 경우에는 그 참여도나 경쟁률 또한 치열하기 때문에 불법자금 등의 유입을 막기 위해 참여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Meet-up(밋업)
ICO를 진행하는 회사 또는 프로젝트팀의 대표이사나 주요구성원들이 진행하는 프리젠테이션 형식의 컨퍼런스, 간담회로 진행되고 주로 투자자유치, 홍보, 아이템 설명, 토론, Q&A 형식의 사업설명회 입니다. 간단한 식사와 기념품등도 제공됩니다.
White Paper(백서)
회사에서 제공하는 솔루션 또는 제품과 그에 관련된 서비스의 기능을 홍보하거나 강조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입니다.
White Paper는 잠재고객이 특정 제품, 서비스, 기술 등 방법에 대해 배우거나 구매토록 하는데 사용되고 판매하기 전 마케팅 도구로써 활용합니다. 화이트리스트 또는 '화리'라고 불립니다.
ERC-20 토큰
Ethereum Request for Comment 20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발행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에 사용되는 기술 표준입니다.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DApp들이 개발되면 자체적인 네트워크 개발에 비해 개발 시간과 비용을 훨씬 절감할 수 있습니다.
MyEtherWallet(뮤)
Ethereum또는 그 계열의 ERC20토큰을 보관하는 전자지갑으로 토큰의 전송이나 수신이 가능하고, MyEtherWallet을 줄여 'MEW(뮤)'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더리움 계열에 참여한다면 대부분 MyEtherWallet의 개인 지갑에서 투자금을 전송하고 추후 제공받는 토큰 역시 자신의 MyEtherWallet 주소를 통해 제공받게 됩니다.
Token Lock(토큰 락)
이동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하고 운영진 및 개발자들이 자체 '락'을 걸어 상장 초반에 ICO투자자들의 덤핑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Roadmap(로드맵)
앞으로 프로젝트 일정을 나타내주는 자료로 밋업, MOU, 기술개발, 자금조달, 계획, 목표 등의 내용들이 이루어질 대략적인 시기를 시간적 순서에 입각하여 작성한 문서입니다.
Scam(스캠)
실체가 없는 기술력으로 상대방을 속이려는 행위, 즉 신용사기를 뜻합니다.
Tier(티어)
일부 ICO의 경우에는 투자등급을 나눠 할인율 또는 개인투자량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으로 부여되고 이를 바탕으로 투자 시차 등을 두어 투자금액을 받기도 합니다.
CAP(캡)
ICO 진행시 목표치에 대한 정의로 모집량 혹은 한도를 나타냅니다.
- Soft Cap(소프트캡) :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최저 모금액을 의미합니다. 만약 소프트캡 이하로 모금되었다면 프로젝트가 진행되지 않아 모금액이 환불 처리됩니다.
- Hard Cap(하드캡) : 생성될 토큰의 총 발행액으로 ICO가 시작되기 전에 고정된 금액으로 정해지면 투자 받을 수 있는 최대 모금액을 말합니다. 한정된 공급량으로 많은 사람들일 원한다면 희소성의 원리로 그 가치가 상승하게 됩니다. 하드캡 이상의 초과분에 대해서는 환불이 이루어집니다.
- Hidden Cap(히든캡) : 소프트캡과 하드캡을 공표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 Minimal Cap(미니멀캡) : ICO참여를 위해 개인이 투자하는 최소 금액을 말합니다.
- Personal Cap(퍼스널캡) : 개인이 투자할 수 있는 최대 금액을 말합니다.
Token Burn(토큰 소각)
ICO에서 정해진 하드캡 수량만큼 달성하지 못할경우 남은 토큰들을 소각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전체 발행량과 시장에 유통되는 토큰의 수량이 줄어들어 토큰 개당 가치의 상승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많은 플랫폼과 기술들이 생겨나고 그로인해 암호화화폐에 대한 가치와 가격 상승으로 많은 수익을 안겨주기도 하지만, 여전히 ICO에 대한 규제와 법적인 틀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순히 수익을 위한 투자인지 아니면 프로젝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나 프로그램 사용이 목적인 것인지에 대한 분명한 자의식이 필요합니다.
또한 그에 따른 기술이나 서비스들이 실행되지 않았을 때 손실을 감당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생각을 정립하신 후에 안전한 투자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ICO 종류와 그에 관련된 용어정리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또 다른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bout co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은 무엇인가? 베일에 싸인 비트코인 (0) | 2018.07.13 |
---|